본문 바로가기

登山 이야기206

호암산 삼성산 등산코스(석수역 - 호암산 - 삼성산 - 관악산역) * 호암산은 해발 393m의 서울 금천구 시흥동에 있는 산으로 관악산, 삼성산으로 이어진 서쪽 끝 봉우리이다. 원래는 금주산 · 금지산(금천의 주산)이라고도 불렀으며 산세가 호랑이 형상을 닮았다 하여 호암산이라 하였다고 한다. 산세가 험하거나 높지 않고 산허리에 서울 둘레길이 조성되어 있어 정상까지 가지 않더라도 편히 다녀올 수 있는 산이다. 호암산 석수역 등산코스는 석수역에서 시작하여 산행 들머리인  "호암산 숲길공원"에서 초반 10 분 정도 가파른 돌계단을 빼고는 힘들거나 위험한 코스가 없지만 나름 가벼운 암릉 길이 있고 전망도 있는 편이라 등산 초보자들도 등산의 재미를 충분히 느낄 수 있어 추천할만한 산이라 라 할 수 있다.    * 호암산 - 삼성산 등산코스 정보석수역- 호암산 숲길공원입구 - 석.. 2024. 8. 5.
삼성산 관악역 등산코스(천인암 능선 - 삼성산 정상 - 장군봉 - 서울대 입구) 삼성산은 해발 481m로 서울 관악구와 금천구, 안양시에 걸쳐 있는 산으로 무너미 고개를 사이에 두고 관악산(해발 629m)과 동. 서로 마주 보고 있어 관악산과 함께 많은 사람들이 찾는 산이다.주요 등산로는 서울대 입구 관악산역(신림선)과 안양 쪽 관악역(1호선)을 들머리로 하는 코스가 있다. 이번 산행은 관악역 등산코스 중 지난번 학우봉 - 국기봉 코스등산 도중에 맞은편 능선이 괜찮게 보여 관악역코스 두 번째로 천인암 능선 코스로 산행하였다. 천인암 능선 코스는 짧은 암릉 코스와 가파르지 않은 코스가 적절히 연결되어 있고 능선코스답게 전망도 좋아 삼성산 정상을 가지 않고 국기봉을 기점으로 학우봉 코스와 연계해도 좋은 산행 코스라 할 수 있다.     * 삼성산 천인암 능선 - 국기봉 - 정상 - 장군.. 2024. 6. 17.
북한산 등산코스 추천(독바위역 - 불광공원 지킴터 - 향림당 - 향로봉 - 족두리봉) 북한산은 전국 최고의 명산이라 할 수 있는 곳이다. 북한산의 정상인 백운대를 가지 않고 어느 봉우리를 오르더라도 좋은 전망과 경치를 볼 수 있는 산이다. 등산코스도 다양하지만 등산코스마다 특색이 있고 등산의 맛과 경치를 볼 수 있는 산이라 할 수 있다.이번 등산코스는 독바위 전철역에서 10분 정도만 걸어가면 만날 수 있는 불광공원 지킴터에서 향림당, 기자촌 능선, 향로봉, 족두리봉을 거쳐 다시 불광공원 지킴터로 하산하는 원점 회귀 코스다. 초반에는 가파른 계단이 이어져 조금 힘들 수도 있지만 곧이어 아기자기한 암릉과 능선 양 옆으로 보이는 경치를 감상하면서 오르면 어느덧 향로봉까지 오를 수 있는 코스이다. 특히 중간지점 통과 후 기차촌 능선과 합류 이후에는 조금 경사가 급한 암릉코스를 통과해야 하지만 크.. 2024. 6. 4.
설악산 1박2일 2일차 등산코스 정보(한계령 - 대청봉 - 천불동 계곡) 설악산 1박 2일 등산코스중  둘째 날에는 희운각 대피소에서 출발 천불동 계곡으로 하산하였다. 둘째날에는 새벽부터 비가 내려 비가 멈추기를 기다리다 8시쯤 비를 맞으며 출발하였다. 우비를 입고 가느라 조금 불편 하기는 했지만 평소에 볼 수 없는 천불동계곡의 비 오는 경치를 보는 것도 좋았다.     * 2일 차 설악산 등산코스희운각 대피소 - 무너미 고개 - 공룡능선 갈림길 - 천당폭포 - 양폭산장 - 비선대 - 신흥사 - 설악산 소공원 (약 8.3Km, 약 4시간 20분, 휴식 시간 포함))    2024.05.24 설악산 1박 2일 1일 차 등산코스 정보 (한계령 - 대청봉 - 천불동 계곡) 설악산 1박2일 1일차 등산코스 정보 (한계령 - 대청봉 - 천불동 계곡)설악산의 여러 코스 중  1박 2일 .. 2024. 5. 27.
설악산 1박2일 1일차 등산코스 정보 (한계령 - 대청봉 - 천불동 계곡) 설악산의 여러 코스 중  1박 2일 코스로 조금은 여유롭게 산행을 하고 싶어 한계령에서 출발 서북 능선, 대청봉을 거쳐 천불동 계곡으로 하산하는 코스를 다녀왔다. 한계령에서 한계령 삼거리 까지는 계속 오르막 길이 이어지고 삼거리 이후에는 급 오르막은 없으나 너덜 지대가 있어 조심해야 한다. 천불동 코스는 아주 오랜만에 갔는데 비까지 내려 평소 볼 수 없는 경치까지 볼 수 있어 언제 어느 때 보아도 감탄이 절로 나오는 코스라 할 수 있다. 초보자들은 천불동 계곡으로 올라와 희운각 대피소에서 1박 하고 다시 천불동 계곡으로 내려가도 충분히 만족할 만하다.중청 대피소는 사용할 수 없어 (현재 공사 중이고 완공되어도 숙식은 불가능) 희운각 대피소에서 1박을 했는데  리모델링을 끝낸 지 얼마 안돼 국립공원 대피소.. 2024. 5. 27.
삼성산 서울대코스 등산코스 정보(관악산 공원 - 철쭉동산 - 깃대봉 국기대 - 계곡길 - 관악산 공원) 삼성산은 해발 481m로 서울 관악구와 금천구, 안양시에 걸쳐 있는 산으로 무너미 고개를 사이에 두고 관악산(해발 629m)과 마주 보고 있어 관악산과 함께 많은 사람들이 찾는 산이다.이번 산행은 삼성산 정상을 거치지 않고 깃대봉 국기대를 지나 계곡길로 내려오는 순환 코스로 등산 초보자들도 어렵지 않게 갈 수 있는 코스라 할 수 있다.또한 이번 코스는 관악산과 달리 등산객들도 많지 않아 호젓한 산행을 즐길 수 있고 약간의 암릉코스와  암벽(철계단도 있음), 아주 조금은 스릴을 맛볼 수 있는 깃대봉(우회길 있음) , 다양한 생김새의 바위들, 그리고 하산 시에는 계곡코스로 내려올 수  있어 여름철에도 좋은 코스라 할 수 있다.     * 삼성산 등산코스관악산역 - 관악산 공원 입구 - 관악산 연주대 갈림길 .. 2024. 5. 6.
관악산 관양능선 등산코스 정보(관양능선 - 6봉 국기봉 -연주암 - 제4쉼터 - 호수공원) 관악산은 서울 관악구와 경기도 과천시, 안양시에 걸쳐있는 해발 고도 632m의 산으로 여러 도시에 걸쳐있기에 산행 들머리도 여러 곳이고 등산코스도 능선코스, 암릉코스, 계곡코스등 다양하여 등산 초보자들을 비롯 많은 사람들이 찾는 산이다. 또한 관악산 정상인 연주대 전망 또한 좋은 산이다.이번 산행은 관양능선으로 올라 학바위 능선으로 하산할 계획이었으나 날씨도 덥고 햇빛도 뜨거워 도림천 계곡(서울대 공학관 계곡)으로 내려왔는데 시원한 바람과 그늘, 계곡물소리 등 탁월한 선택이었다. 관양능선은 육봉 국기봉으로 오르는 약간의 암릉과 이후 팔봉을 지나 연주대로 가는 중간에 암릉구간이 있지만 우회길도 있고 데크 계단도 있어 초보자들도 갈 수 있는 코스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관악산 관양능선 등산코스관.. 2024. 4. 29.
광교산 수지성당 등산코스 정보(수지성당 - 시루봉(정상) - 상광교) 광교산은 수원시, 용인시, 의왕시에 걸쳐있는 산으로 최고봉인 시루봉(582m)을 중심으로 백운산(566m), 바라산(428m), 우담산(425m), 청계산(618m)으로 연결되어 있다. 광교산은 도시에 있는 산답게 산행 들머리가 여러 군데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경기대 정문 옆에 있는 "반딧불이 화장실"에서 출발하여 짧게는 형제봉 회귀코스나 아니면 광교산 정상인 시루봉까지 갔다가 상광교 종점으로 내려가는 코스를 많이 가기도 한다. 이번에는 수지성당 수지생태공원에서 출발 광교산 정상인 시루봉을 거쳐 상광교로 하산하는 코스를 선택했다. 광교산은 등산로가 험하지 않아 걷기가 편한 곳인데 특히 수지성당코스는 수지 생태공원에서 바람의 언덕 쉼터까지는 오르막과 내리막이 번갈아 나오지만 대부분 흙길로 걷기가 편하며 바람.. 2024. 4. 15.
관악산 자운암능선 등산코스 정보(자운암능선-연주대-사당능선) 관악산은 서울 관악구와 경기도 과천시, 안양시에 걸쳐있는 해발 고도 632m의 산이다. 북한산, 도봉산과 더불어 서울의 대표적인 산으로 많은 등산객들이 찾는 산이다. 또한 관악산은 서울대 입구, 사당역, 과천등 전철역에서 바로 등산로로 쉽게 접근할 수 있기도 해 요즘은 관악산 정상 인증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10m 이상 줄을 서야 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인기 있는 산이다. 관악산은 능선산행, 계곡산행, 암릉산행등 코스가 다양하다. 그중 대표적인 암릉산행코스로는 팔봉능선, 육봉능선이 있는데 이번 자운암 능선코스는 위 2곳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짧은 암릉 코스가 이어지며 정상에 빠르게 오를 수 있는 최단코스라 할 수 있다. * 관악산 자운암 - 사당능선코스 건설환경 종합연구소 - 자운암/연주대 깔딱 고.. 2024.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