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43

전철 타고 가는산 가평 주발봉 등산코스(가평역 - 주발봉 - 호명호수 - 상천역) 주발봉은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에 위치한 해발 489m의 산으로 호명호수를 사이에 두고 호명산으로 이어지는 전형적인 육산으로 부드러운 산세를 지닌 산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경춘선 가평역과 상천역을 들머리와 날머리로 할 수 있어 대중교통으로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산이다.산 높이는 500m도 되지 않지만 전체 등산코스가 약 15km 정도이고  봉우리들을 여러 개 오르락내리락해야 하는 코스라 험한 등산로는 없지만 쉽게만 볼 수 없는 산이기도 하다. 또한 등산객들도 많이 없어(실제로 이번에서도 산행 내내 한 사람도 마주치지 않았다) 겨울철 눈이 많이 왔을 때나 날씨가 좋지 않을 때는 시간을 여유 있게 잡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이번 산행은 주발봉이 육산이라 눈이 쌓였을떄가 좋을 것 같아서 설 연휴에 꽤 많.. 2025. 2. 4.
수락산 마들역 등산코스(수락산 보루 - 귀임봉 - 정상 - 석림사) 수락산은 서울 노원구, 의정부시, 남양주시 별내면의 경계에 위치한 해발 638m의 산으로 아주 높지는 않지만 아기자기한 암봉과 암릉 산행이 특색이며 또한 여름에는 계곡의 수량도 풍부해 여름계곡 산행으로도 좋은 곳이다. 등산객들도 주변의 주민들만 아니라 먼 곳에서도 찾아오는 산으로 코스에 따라서 초보자나  중급자 이상도 충분히 즐길 수 있는 산이라 할 수 있다. 이번 산행코스는 수락산 제5 등산로인 노원구 마들역에서 출발하여 정상을 거쳐 석림사를 날머리로 의정부시 장암역까지 코스로  수락산 보루와 귀임봉을 지나는 제5 등산로는 주변에 아파트 단지가 있어 들머리가 여러 곳이 있지만 마들역 전철을 이용한다면 아래 소개하는 들머리를 이용하는 것이 빠른 길이다.수락산은 일반적으로 암릉코스가 많은데 제5 등산로는 .. 2024. 12. 17.
수락산 동막골 도정봉 등산코스(동막골 초소 - 동막봉 - 도정봉 - 수락산 정상 - 도솔봉 - 동막골 자연휴양림) 수락산은 서울 노원구, 의정부시, 남양주시 별내면의 경계에 위치한 해발 638m의 산으로 아주 높지는 않지만 아기자기한 암봉과 암릉 산행이 특색이며 또한 여름에는 계곡의 수량도 풍부해 여름계곡 산행으로도 좋은 곳이다. 등산객들도 주변의 주민들만 아니라 먼 곳에서도 찾아오는 산으로 코스에 따라서 초보자나  중급자 이상도 충분히 즐길 수 있는 산이라 할 수 있다. 수락산만으로 아쉽다면 불암산과 연계하여 산행을 하기도 한다. 수락산 등산코스는 일반 적으로 수락산역을 기점으로 하는 코스를 많이 찾는데 이번 산행코스는 의정부 동막골에서 출발하여 정상을 거쳐 노원구 동막골로 내려오는 코스로 동막골 초소에서 기차바위 까지는 등산객들이 별로 없이 호젓한 산행을 할 수가 있다. 수락산에는 동막골이란 명칭이 있는 곳이 2.. 2024. 12. 2.
명성산 대중교통 억새 등산코스(상동주차장 - 책바위 - 억새밭 - 삼각봉 - 억새밭 - 등룡폭포 - 상동주차장) * 명성산은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과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에 경계한 산으로 정상은 해발 922.6m이며 앞뒤로 삼각봉(906m), 궁예봉(823 m)등이 있지만 명성산 하면 억새로 유명하여 주로 산정호수 상동주차장을 원점으로 억새밭까지 1코스, 2코스를 순환하는 코스나 아니면 조금 수월한 2코스 원점 회귀코스를 많이 선택한다.하지만 가을철 억새를 빼더라도 산정호수 2코스를 지나 정상까지 가는 코스도 충분히 만족할 만한 산행 코스라 할 수 있다. 2코스는 능선길로 산정 호수가 한눈에 보이는 등 전망은 좋지만 암릉과 가파른 계단 코스가 많아 등산 초보들에게는 조금 힘들 수도 있다.  1코스는 등산로가 넓고 급 오르막도 없으며 또한 초반의 계곡과 폭포를 볼 수 있으며 억새군락지로 바로 갈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2024. 11. 25.
운악산 등산코스(포천 운악산 광장 - 서봉 - 동봉 - 병풍바위 - 가평 운악산 공영 주차장) * 운악산은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과 가평군 조종면에 걸쳐 있는 해발 937.5m의 산으로 화악산, 관악산, 감악산, 송악산과 함께 경기 5악에 속하는 산이다. 악자가 들어가는 산답게 산세가 험하고 경사도 급하고 암릉 구간도 많지만 등산로 중간중간 보이는 전망, 특히 가을 단풍 절경과 암릉을 타는 묘미등은 산행의 고단함을 충분히 보상할 수 있는 산이라 할 수 있다.운악산 등산코스는 크게 포천방향인 운악산 광장에서 출발하는 코스와 가평방향 운악산 공영주차장에서 출발하는 코스로 나눌 수 있는데 가평 쪽이 대중교통을 이용하기에는 조금 더 편한 코스라 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운악산 출렁다리도 조성이 되어  가족 단위로 찾는 사람들도 많이 보이기도 했다..이번 산행은 포천 쪽 에서 2코스로 올라 서봉, 동봉을.. 2024. 11. 11.
수락산 등산코스 수락8경 * 수락산은 해발 637m의 산으로 서울 노원구, 경기도 의정부시, 남양주 별내면에 있는 산으로 높지는 않지만 암릉과 계곡, 능선이 어우러진 산이다. 특히 여름 계곡은 수량도 풍부해 한여름에도  많은 사람들이 찾는 산이기도 하다. 또한 접근성도 좋아 보통 수락산역이나 장암역 등 전철역을 이용 등산코스를 많이 이용하는데 이번에는 남양주 쪽을 들머리로 한 수락 8경 코스 중 1코스 능선으로 올라 2코스 계곡으로 하산하는 원점회귀 코스를 다녀왔다. * 수락 8경옥류폭포, 은류폭포, 금류폭포 미륵봉 백운향로봉 청풍(소리바위), 칠성대의 기암괴석,내원암 풀경소리와 불로정 약수(수락산장 아래), 선인봉 영락대.     * 수락산 수락 8경 등산코스마당바위 입구 버스 정류장 - 청학교 - 마당바위 쉼터 - 사기막 고.. 2024. 10. 4.
관악산 무장애 숲길, 모자봉 * 관악산에도 무장애 숲길이 있다는 것을 우연히 알게 되었는데 날씨도 덥고 해서 가볍게 나섰는데 무장애 숲길로는 조금 아쉬움이 있어 삼성산 올라갈 때 보았던 모자봉(해발 약 230m)까지 다녀왔다. 관악산 무장애 숲길은 접근하기도 편리해서 관악산역 전철역에서부터 거의 평지나 다름없는 아스팔트 도로를 약 20분 정도 가면 된다. 도로 좌우로 나무들도 무성해 한여름에도 그늘져 있어 노약자(휠체어나 유모차도 가능) 들도 산책 삼아 부담 없이 다녀올 수 있는 코스라 할 수 있다. 관악산 무장애 숲길 소개 ( 출처; 관악구청 홈페이지)총연장 1.3㎞ X 폭 2m (※ 순환형 숲길 750m, 등반형 숲길 550m) 구간 : 관악산 제2광장 ~ 열녀암 해발고도 : 진입광장에서 전망쉼터까지 약 68m 책 읽는 쉼터(진.. 2024. 8. 26.
호암산 삼성산 등산코스(석수역 - 호암산 - 삼성산 - 관악산역) * 호암산은 해발 393m의 서울 금천구 시흥동에 있는 산으로 관악산, 삼성산으로 이어진 서쪽 끝 봉우리이다. 원래는 금주산 · 금지산(금천의 주산)이라고도 불렀으며 산세가 호랑이 형상을 닮았다 하여 호암산이라 하였다고 한다. 산세가 험하거나 높지 않고 산허리에 서울 둘레길이 조성되어 있어 정상까지 가지 않더라도 편히 다녀올 수 있는 산이다. 호암산 석수역 등산코스는 석수역에서 시작하여 산행 들머리인  "호암산 숲길공원"에서 초반 10 분 정도 가파른 돌계단을 빼고는 힘들거나 위험한 코스가 없지만 나름 가벼운 암릉 길이 있고 전망도 있는 편이라 등산 초보자들도 등산의 재미를 충분히 느낄 수 있어 추천할만한 산이라 라 할 수 있다.    * 호암산 - 삼성산 등산코스 정보석수역- 호암산 숲길공원입구 - 석.. 2024. 8. 5.
삼성산 관악역 등산코스(천인암 능선 - 삼성산 정상 - 장군봉 - 서울대 입구) 삼성산은 해발 481m로 서울 관악구와 금천구, 안양시에 걸쳐 있는 산으로 무너미 고개를 사이에 두고 관악산(해발 629m)과 동. 서로 마주 보고 있어 관악산과 함께 많은 사람들이 찾는 산이다.주요 등산로는 서울대 입구 관악산역(신림선)과 안양 쪽 관악역(1호선)을 들머리로 하는 코스가 있다. 이번 산행은 관악역 등산코스 중 지난번 학우봉 - 국기봉 코스등산 도중에 맞은편 능선이 괜찮게 보여 관악역코스 두 번째로 천인암 능선 코스로 산행하였다. 천인암 능선 코스는 짧은 암릉 코스와 가파르지 않은 코스가 적절히 연결되어 있고 능선코스답게 전망도 좋아 삼성산 정상을 가지 않고 국기봉을 기점으로 학우봉 코스와 연계해도 좋은 산행 코스라 할 수 있다.     * 삼성산 천인암 능선 - 국기봉 - 정상 - 장군.. 2024. 6. 17.